아차산 일대 보루군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아차산 일대 보루군은 중랑천과 아차산·용마산 일대, 3번 국도 변에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는 삼국시대의 유적이다. 둘레 100~300m의 소규모 보루들로, 출토 유물과 축성 방법 등을 통해 고구려가 한강 유역을 점령했던 시기의 역사를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. 10여 개의 보루는 남한 내 고구려 관련 유적 중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하며, 발굴을 통해 고구려 군사 시설의 면모를 파악하고 있다. 2010년 구리시에서 아차산4보루를 복원했고, 2012년 시루봉보루 복원을 완료했다. 2013년에는 홍련봉2보루에서 해자가 발견되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서울 중랑구의 문화유산 - 충익공 신경진 묘역
충익공 신경진 묘역은 조선 중기 무신인 신경진의 묘역으로 경기도 파주에 위치하며, 인조반정 공신인 그의 묘와 송시열이 비문을 짓고 박태유가 글씨를 쓴 신도비가 있다. - 서울 광진구의 문화유산 - 아차산성
아차산성은 서울 광진구와 경기 구리시에 걸쳐 있는 산성으로, 고구려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다투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, 고구려와 신라 유물이 다수 발견되었다. - 서울 광진구의 문화유산 - 낙천정 터
낙천정 터는 송시열이 학문을 연구하던 '숭교정' 자리에 채세응이 이름 붙여 세워졌으나, 1991년 재건된 정자가 원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위치도 달라 서울특별시 기념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여 해제되었다. - 서울 노원구의 문화유산 -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
조선 중종 시대에 세워진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는 묘비 훼손을 막기 위한 경계문이 한글로 새겨진 비석으로, 국어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비석으로 평가받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다. - 서울 노원구의 문화유산 - 태강릉
태릉은 조선 중종의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의 단릉으로, 원래 중종의 정릉 옆에 묻히길 원했으나 침수 문제로 현재 위치에 안장되었으며, 제향은 태릉봉향회에서 주관하고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, 인근에 강릉과 태릉선수촌이 있고 2014년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.
아차산 일대 보루군 - [유적/문화재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개요 | |
이름 | 아차산 일대 보루군 |
로마자 표기 | Achasan Iltae Borugun |
지정 종류 | 사적 |
지정 번호 | 455 |
지정일 | 2004년 10월 27일 |
면적 | 924,599m2 |
위치 | 서울특별시 광진구, 중랑구, 노원구, 경기도 구리시 일대 |
역사 | |
시대 | 삼국시대 |
관련 정보 | |
관련 문화재 | 아차산 |
과거 지정 문화재 | |
명칭 | 아차산홍련봉보루유적 |
지정 종류 | 기념물 |
지정 번호 | 21 |
지정일 | 2002년 10월 5일 |
해제일 | 2004년 10월 27일 |
2. 상세
아차산 일대 보루군은 중랑천과 아차산, 용마산 일대, 3번 국도 변에 남북 방향으로 집중 분포하는 둘레 100~300m의 소규모 보루들이다. 출토 유물이나 축성 방법 등으로 보아 삼국시대 유적이며, 고구려가 5세기 후반 한강 유역에 진입한 후 551년 신라와 백제에 의해 한강 유역을 상실하기까지의 역사를 밝혀줄 중요한 유적이다.[1]
이 보루군은 남한 내에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고구려 관련 유적으로, 발굴을 통해 고구려 군사 시설의 면모가 규명되고 있으며, 고고학적 성과가 기대된다.[1]
2. 1. 위치 및 분포
중랑천과 아차산, 용마산 일대, 3번 국도 변에 남북 방향으로 보루들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. 이 보루들은 둘레 100~300m의 소규모로, 출토 유물이나 축성 방법 등으로 보아 삼국시대 유적이다. 고구려가 5세기 후반 한강 유역에 진입한 후 551년 신라와 백제에 의해 한강 유역을 상실하기까지,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삼국의 역사상을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.[1]10여 개의 보루는 현재 남한 내에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고구려 관련 유적으로, 발굴 등을 통해 고구려 군사 시설의 면모가 규명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고구려 관련 고고학적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.[1]
2. 2. 역사적 의의
중랑천과 아차산, 용마산 일대, 3번 국도 변에 남북 방향으로 집중 분포하는 둘레 100~300m의 소규모 보루들은 출토 유물이나 축성 방법 등으로 보아 삼국시대 유적이다. 이 보루들은 고구려가 5세기 후반에 한강 유역에 진입한 후 551년에 신라와 백제에 의해 한강 유역을 상실하기까지,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삼국의 역사상을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.[1]이 10여 개의 보루는 현재 남한 내에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고구려 관련 유적으로, 발굴 등을 통해 고구려 군사 시설의 면모가 규명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고구려 관련 고고학적 성과가 기대된다.[1]
2. 3. 고고학적 가치
중랑천과 아차산, 용마산 일대, 3번 국도 변에 남북 방향으로 집중 분포하고 있는 둘레 100~300m의 소규모 보루들은 출토 유물이나 축성 방법 등으로 보아 삼국시대의 유적이다. 이 유적들은 고구려가 5세기 후반에 한강 유역에 진입한 후 551년에 신라와 백제에 의해 한강 유역을 상실하기까지,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삼국의 역사상을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.[1]10여 개의 보루는 현재 남한 내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고구려 관련 유적으로, 발굴 등을 통해 고구려 군사 시설의 면모가 규명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고구려 관련 고고학적 성과가 기대된다.[1]
3. 복원 현황
2010년 구리시는 아차산4보루를,[2] 2012년에는 시루봉보루를 복원했다.[3] 2013년 4월 23일에는 홍련봉2보루에서 해자가 발견되었다.[2]
3. 1. 구리시 아차산4보루 복원
2010년 구리시에서 아차산4보루의 복원을 완료했다.[2]3. 2. 구리시 시루봉보루 복원
2012년 구리시에서 시루봉 보루의 복원을 완료하였다.[3]3. 3. 홍련봉2보루 해자 발견
2013년 4월 23일에 홍련봉2보루에서 해자가 발견되었다.[2]참조
[1]
간행물
서울특별시기념물지정해제
서울특별시장
2004-10-27
[2]
뉴스
구리시 '아차산4보루' 복원
https://news.naver.c[...]
뉴시스
2010-12-21
[3]
뉴스
구리시, 고구려 군사유적 '시루봉 보루' 복원 14일 공개
https://news.naver.c[...]
뉴시스
2012-06-11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